미국 주식 투자에서 자주 헷갈리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우리가 주식앱을 통해서 보는 금액을 기준으로 분명 양도차액이 250만 원을 넘지 않았는데,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를 부과하신 경험이 있으실 거에요. 주식 매매로 얻은 차익뿐만 아니라, 환율 변동에 따른 손익까지 고려해야 하는 이 세금, 사실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1.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미국 등 해외 주식 매매로 발생한 양도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양도차익이 250만원 이상 발생하면 과세 대상이 되는데요. 여기에는 주식 매매 차익은 물론, 미국 달러 기준 주가에 큰 변화가 없더라도 환율이 상승해 원화로 환산한 금액이 늘어나면 그 차익에도 세금이 부과됩니다. 그래서 투자하실 때는 주가뿐만 아니라 환율 변동도 반드시 체크하셔야 합니다.2.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법
1) 선입선출법
선입선출법은 이름 그대로, “먼저 산 주식은 먼저 판다”는 원칙입니다.여러 번에 걸쳐 주식을 매수한 경우, 매도 시 가장 처음에 구매한 주식부터 차례대로 계산하게 되는데요. 이 방법은 어느 시점의 매입 가격이 기준이 되는지 명확해서 기록을 꼼꼼히 해두면 세금 신고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예시↓)
[매수 내역]
2024년 1월: 100주, 주당 $100
2024년 3월: 100주, 주당 $200
2024년 1월: 100주, 주당 $100
2024년 3월: 100주, 주당 $200
[매도 내역]
2025년 2월: 150주 매도
[계산 방법]
먼저, 2024년 1월에 구매한 100주(주당 $100)를 매도
→ 매입금액: 100 × $100 = $10,000
다음으로, 2024년 3월에 산 주식 중 50주(주당 $200)를 매도
→ 매입금액: 50 × $200 = $10,000
이 두 거래에서 발생한 차익을 각각 계산해 합산하면, 최종 양도차익이 나오게 됩니다.
많은 증권사가 선입선출법으로 세금을 계산하고 있어요. 일반 투자자는 아래 이동평균법이 조금 더 익숙할거에요.
2) 이동평균법
이동평균법은 여러 번에 걸쳐 매수한 주식의 평균 매입 단가를 산출해서, 그 기준으로 매도 시 이익이나 손실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여러 번의 매수 가격이 다를 때, 평균 단가를 사용하면 일관성 있게 계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시↓)
[매수 내역]
2024년 1월: 100주, 주당 $100
2024년 3월: 100주, 주당 $200
2024년 1월: 100주, 주당 $100
2024년 3월: 100주, 주당 $200
총 매입액 = (100 × $100) + (100 × $200) = $10,000 + $20,000 = $30,000
평균 매입 단가 = $30,000 ÷ 200 = $150
[매도 내역]
2025년 2월: 150주 매도
2025년 2월: 150주 매도
[계산 방법]
150주 매도 시 총 매입금액은 150 × $150 = $22,500
이 금액과 매도 금액과의 차액을 계산하면, 양도차익 또는 손실이 산출됩니다.
이동평균법이 조금 더 우리에게 익숙한 결과일거에요. 이동평균법을 이용해 세금을 계산하는 증권사는 대표적으로 삼성증권과 토스증권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3. 환율의 영향: 원화 기준 계산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원화 기준으로 계산됩니다.즉, 미국 달러 기준 주가가 그대로라도, 환율이 상승하면(원화 가치 하락) 매도 시 원화로 환산한 금액이 커져 추가 양도차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예시↓)
[주식 매입]
100주를 $100에 매수 (구매 시 환율: 1,200원/$)
매입 금액 = 100 × $100 × 1,200원 = 12,000,000원
[주식 매도]
주가가 $100로 그대로 유지되더라도, 매도 시 환율이 **1,400원/$**로 상승
주가가 $100로 그대로 유지되더라도, 매도 시 환율이 **1,400원/$**로 상승
매도 금액 = 100 × $100 × 1,400원 = 14,000,000원
주가에 변화가 없더라도, 환율 상승으로 인해 2,000,000원의 양도차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예시에서는 차익이 과세 기준(250만원)을 초과하지 않았지만, 주가 상승까지 더해지면 예상한 것보다 더 많은 세금을 낼 수도 있어요
예시에서는 차익이 과세 기준(250만원)을 초과하지 않았지만, 주가 상승까지 더해지면 예상한 것보다 더 많은 세금을 낼 수도 있어요
4. 결론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미국 주식 투자 시 발생한 매매 차익과 환율 변동을 모두 고려해야 돼요.선입선출법은 먼저 산 주식을 기준으로 계산해 투명한 기록 관리가 가능하고, 이동평균법은 평균 매입 단가를 적용해 여러 번 매수한 경우에도 일관된 기준으로 세금을 산출할 수 있어요.
또한, 세금은 원화 기준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주가 변동뿐 아니라 환율 상승에 따른 추가 양도차익 발생에도 주의해야 해요.
선입선출법이든 이동평균법이든 해외주식으로 돈 많이 벌어서 세금 내는 투자자가 되도록 노력합시다!